도쿄서적의 고등학교 '일본사 탐구' 교과서입니다. <br /> <br />"일본인 뿐 아니라 조선과 타이완에서도 국민 징용령에 따라 동원됐다"고 기술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에 강제로 끌려가 가혹한 노동에 시달린 역사적 사실을 정당한 것인 양 적은 겁니다. <br /> <br />'종군 위안부'와 '일본군 위안부'라는 표현도 모두 '위안부'로 바꾸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군의 관여를 감추려는 의도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한 고노 담화 내용과 배치되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에 대해서는 교과서 대부분이 명확히 쓰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기술은 일본 정부가 지난해 4월 해당 용어를 교과서에 쓰지 말라는 사실상의 지침을 공식 결정한 데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[하기우디 코이치 / 당시 일본 문부성 장관 : 아이들에게 오해를 부르는 일이 되므로 앞으로 사용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겁니다.] <br /> <br />독도가 "일본 고유의 영토"라는 내용은 역사를 뺀 사회 과목 교과서 12종에 모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사 교과서에까지 영유권 주장이 등장했고 공공 과목에서는 '한국의 내셔널리즘 때문에 해결이 어렵다'는 해설도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신철 /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운영위원장 : 왜 일본이 정당한 영유권을 갖는지에 대해 학생들이 조사하게 하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실천 활동을 하게 하고 이런 식으로 필자들이 스스로 정부가 요구한 것 이상을 서술하기 시작했습니다.] <br /> <br />전후 배상 문제에 있어서도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과 2015년 한일위안부합의로 모두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 입장을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스즈키 토시오 / 아이들과 교과서전국네트21 사무국장 : 교과서 채택에 있어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하지 않으면 다음 검정까지 1년간 그 교과서를 쓸 수 없게 됩니다. (출판사들은) 역시 문부과학성의 의향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지 않으면 어려워집니다.] <br /> <br />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지우려는 시도가 교육 현장까지 전방위적으로 이어지면서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33003195441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